자기계발 썸네일형 리스트형 4가지 핵심으로 성공을 캐라 -유철수 성공학박사- 4가지 핵심으로 성공을 캐라 당신은 성공에 갈증을 느끼고 있는가? 아니면 현재의 삶에 만족하며 살아 가고 있는가? 무엇을 하든 성공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극소수의 몇 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내면 깊은 곳에서 성공에 의 갈증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성공의 방법은 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누구에게 적용하여도 일정한 성공에 도달 할 수 있는 핵심적인 방법 은 있다. 아래 4가지 핵심을 습득하면 당신도 성공의 정상에서 축배를 들 수 있다. 암흑 속에서도 한 줄기 빛을 발견하라 세상은 빛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어둠은 빛 보다 약하다. 성공은 빛을 좋아하고 실패는 어둠과 친하다. 당신은 어떤 형인가? 간단하게 체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스스로 아래 3가지를 체크해 보라. 첫째, 평소에 부 정적인 방향으로.. 더보기 날마다 더 나아지고 있는 사람 -고도원의 아침편지- 날마다 더 나아지고 있는 사람 주변에 "정말 대단한 엄마야!", "정말 훌륭한 직원이야!" 이런 감탄을 자아내는 사람이 있는가? 그는 십중팔구 날마다 더 나아지고 있는 사람이다. 어떻게 해야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1. 나는 잘 될 것이다 2. 나는 긍정적인 사람이다 3. 나는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이다 4. 나는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다 5. 나는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다 6. 나는 비전이 있는 사람이다 7. 나는 믿음으로 산다 - 조엘 오스틴의《잘되는 나》중에서 - * 인생이 늘 이분법적인 것은 아니지만 많은 경우, 두 갈래 방향으로 쉽게 나뉩니다. 하루하루 더 나아지는 쪽이냐 나빠지는 쪽이냐, 최선을 다하느냐 아니냐, 비전이 있느냐 없느냐... 처음은 아주 미세한 차이지만 한 걸음 한 걸음 .. 더보기 돈을 잘 버는 비결 -공병호연구소- 영국 버진 그룹의 리처드 브랜슨의 엣센이를 읽다가 '돈을 잘 버는 비결'에 관한 글을 읽었습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평범한 사실이지만 브랜슨의 믿음을 담은 글에서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택시 운전사나 저널리스트, 라디오 진행자들은 어떻게 그처럼 돈을 잘 버는지 비결을 묻곤 한다. 사실 그들이 정말로 알고 싶은 것은 '자신들이'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다. 누구나 백만장자가 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그럴 때마다 나의 대답은 늘 똑 같다. 내겐 비결 같은 것은 없다. 사업을 할 때 지키는 규칙도 없다. 단지 열심히 일하고, 뭔가를 할 때에는 항상 할 수 있다고 믿을 뿐이다. 무엇보다도 즐기려고 노력한다. 일과 재미는 조화를 이뤄야 한다. 그때야 비로소 "즐긴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고.. 더보기 두번째 인생 -고도원의 아침편지- 두번째 인생 두번째 인생을 사는 것처럼 살아라. 그리고 지금 막 하려고 하는 행동이 첫번째 인생에서 그릇되게 했던 바로 그 행동이라고 생각하라. - 빅터 프랭클의《죽음의 수용소에서》중에서 - * 누구에게나 인생은 단 한 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한 번뿐인 소중한 인생을 헛되이 보낼 수는 없습니다. 삶에서 권태를 느끼거나 의욕이 없어지고 살아가는 의미가 옅어질 때, 열심히 살고자 하는 의지가 약해질 때, 한 번쯤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 두번째 인생은 다르게 살겠다고… 더보기 [나의 독서일지] 생의 모든 순간을 사랑하라 / 윌리엄 하블리첼 저, 유영 역 / 브리즈 생의 모든 순간을 사랑하라 | 윌리엄 하블리첼 저/유영 역 | 브리즈 죽음을 인생에 가장 큰 축복으로 받아들인 사람들은 정녕 인생을 단 하루처럼 살았다. 그건 우리가 바라는 가장 아름다운 ‘기적’이었다. 하여 그들은 하루하루를 기적처럼 살았다. 따지고 보면 모든 인생은 시한부 인생이다. 누군가는 그 시간을 기적처럼 살고, 누군가는 상처 속에서 산다. 당신은 어떤 인생을 살 것인가. “지금 이 순간, 가장 멋진 일이 일어나고 있다오. 나는 정녕 인생에 귀 기울이는 법을 이곳에서 배웠어요. 참된 행복에 귀 기울이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내 인생을 소리쳐 불러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내 인생이 내게 오랫동안 메아리처럼 화답하는 소리를 가만히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아, 마침내 나는 깨달았어요. 내 인생의 점수는 .. 더보기 "이래서는 안 되는데..." -고도원의 아침편지- "이래서는 안 되는데..." 여유 없는 삶은 파괴적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과로사와 단순 과로는 대개 종이 한 장 차이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래서는 안 되는데...좀 쉬어야 하는데..."하다가 쓰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순간 멈추면 삽니다. 그 순간 휴식을 취하면 회복이 됩니다. 과로사는 잠깐 쉬지 못해서 아주 쉬어버리는 현상입니다. - 황성주의《10대, 꿈에도 전략이 필요하다》중에서 - * 잘 알고는 있는데 실행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래서는 안 되는데, 안 되는데' 하면서도 계속 과로의 수렁으로 걸어 들어가는 것이지요. '이건 아니다' 싶을 때 잠깐 멈추는 것, 그것이 여유있는 삶입니다. 여유를 잃으면 작은 피로가 과로로 이어지고 과로가 쌓이면 어느 한 순간 통째로 무너집니다. 더보기 나의 성장을 위한 좋은 질문들... 나는 왜 고용되었는가? -예병일의 경제노트- 나의 성장을 위한 좋은 질문들... 나는 왜 고용되었는가?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11.21) 먼저 "나는 왜 채용되었는가?"라고 자신에게 물어보라. 나는 무엇을 이루기 위해 고용되었는가? 일에서 나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결과는 무엇인가? 내가 만약 일에 대한 대가로 월급을 받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면 어떤 이유가 있을까? 브라이언 트레이시의 '백만불짜리 습관' 중에서 (용오름, 115p) 나에게 정면으로 물어볼 '좋은 질문'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나의 '지금'을 되돌아보고 진정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해주는 그런 질문들입니다. "당신은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원하십니까?" 제가 2004년 1월6일 첫 경제노트 메일에서 말씀드렸던 '좋은 질문'입니다. 내가 진정 소중하게 생각하.. 더보기 유혹경제와 러브마크 -공병호연구소- 사치 & 사치사의 케빈 로버츠 회장이 신간을 펴냈습니다. 전번 책인 다음으로 선을 보인 이번 책도 정말 멋진 책이네요. 이 책의 핵심 개념인 '유혹경제'와 '러브마크'에 대한 글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러브마크(lovemark)는 브랜드이자 이벤트며 경험이다. 단순히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열정적으로 사랑하는 것이다. 러브마크만이 왜 몇몇 브랜드가 고객과 특별한 감성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지 말해 준다. 우리는 지금까지 제품의 시대에서 트레이드마크의 시대를 거쳐 브랜드의 시대를 지나, 이제 마지막으로 러브마크의 시대로 가는 여정의 끝자락에있다. 그러나 러브마크의 시대로 이동하기 전, 브랜드는 반드시 존경이라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존경이 없다면 유행에 그치거나 일용품으로 전락하고 만다. 모든 위대한.. 더보기 열정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감사목록 써보기, 초심 유지하기 -예병일의 경제노트- 열정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감사목록 써보기, 초심 유지하기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11.16) 로저는 지독한 절망감을 견디다 못해 담임목사를 찾아갔다. "인생이 완전히 꼬였어요. 기뻐할 이유가 하나도 없어요." 목사가 잠시 생각하더니 입을 열었다. "좋습니다. 간단한 실험을 한가지 해보죠." 그러고는 종이 한 장을 꺼내 가운데 세로로 줄을 하나 그었다. "왼편에는 복을 나열하세요. 기뻐할 이유들 말이에요. 그리고 다른 편에는 문젯거리들을 쓰세요. 생각하기도 싫은 일들이요." 로저가 씁쓸하게 웃으며 말했다. "알았습니다. 하지만 왼편에는 쓸게 없어요." "괜찮아요. 그냥 써보세요." 로저가 문젯거리들을 나열하려고 고개를 숙이자마자 목사가 툭 한마디를 던졌다. "아내가 세상을 떠나셨다니 참으로 안.. 더보기 좋은 생각, 좋은 삶 -고도원의 아침편지- 좋은 생각, 좋은 삶 인생을 즐기고 살고 싶으면 즐거운 생각을 해야 한다. 성공한 인생을 살고 싶다면 성공하는 생각을 해야 한다. 사랑하며 살고 싶으면 사랑하는 생각을 해야 한다. 우리가 마음 속으로 생각하거나 입으로 소리내어 말하면 그대로 이루어진다. - 루이스 헤이의《치유》중에서 - * 우리의 생각이 우리의 삶을 만들어갑니다. 생각이 말이 되어 나오고, 말이 씨가 되어 실제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좋은 생각을 해야 합니다. 그 생각의 주인공은 나입니다. 좋은 생각을 할 것인지 나쁜 생각을 할 것인지, 그 선택의 주인공도 다름 아닌 바로 나 자신입니다. 더보기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