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 -아침편지- 우리는 살면서 일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막상 일을 수행하다보면 그 일이 실패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거기서 문제가 시작됩니다. 실패를 생각하는 순간 자신 스스로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만듭니다. 항상 자신이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십시오. 그 순간 내 자신은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만들어내고 있을 겁니다. - 데이빗 슐츠 불가능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은 자신은 그 일을 할 수 없다고 믿는 사람이다. 하지만 정말 그것이 불가능한 것일까? 조금만 바꾸어 생각해 보자. 불가능(Impossible)이라는 단어 안에는 ‘나는 가능하다(I'm possible)’라는 단어가 숨어 있다. 똑같은 상황에서도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고,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 것이다. 불가능하다고.. 더보기 투자의 지혜 -공병호연구소- 1. 투자란 주식 조각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일부는 사서 그 기업이 성장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행위다. 반면, 투기란 단기적 주가 향방에 목을 매고 주사위를 던지는 행위다. 투자는 투자자를 부자로 만들어 주지만, 투기는 주사위를 굴리는 펀드 매니저를 부자로 만들어 준다. 2. 시세 동향과 금리 변동 추이에만 관심을 두는 투자자는 결국 미국 연방 준비은행에서 발표하는 약간의 금리 인상 뉴스에도 장기적인 경제 가치가 탁월한 우량 기업의 주식을 내다 파는 어리석은 행동을 하고 만다. 버핏은 이처럼 민감한 투자자들이 어리석은 이유 때문에 우량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내다 팔 때를 기다린다. 때가 오면 버핏은 그 주식들을 가만히 주워 담는다. 그리고 일단 사들인 주식은 오래도록 움켜쥐고 웬만해선 내놓지 않는다.. 더보기 앤드류 카네기, 필 잭슨... 자신보다 더 우수한 부하를 이끌며 성과를 만드는 리더십 앤드류 카네기, 필 잭슨... 자신보다 더 우수한 부하를 이끌며 성과를 만드는 리더십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9.28) 조직이 수평적으로 변하면서 부하직원들도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업무 권한을 부여받게 되었다. 과거 위계적 조직 질서 하에서는 리더에게 책임과 권한이 집중되었다. 그러다 보니, 부하 직원들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 부하 직원들의 책임의 범위가 넓어지고, 권한도 커지면서 이들의 리더십 역량도 증대되고 성과 또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오래 근무한 리더에게 지식과 정보가 집중되어 있던 반면, 이제는 모든 지식과 정보들이 자유롭게 공유되면서 누가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고 있다. 창의력으로 무장한 패기 넘치는 부하 직원들이 리더 못지 않은.. 더보기 세계 6위 부자 아델슨 회장의 비즈니스 원칙... Change the status quo -예병일경제노트- 세계 6위 부자 아델슨 회장의 비즈니스 원칙... Change the status quo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9.27) 정직하고, 약속을 지키고, 직원들을 공정하게 대한다는 정상적인 가치(normal value) 이외에 나는 개인적으로 ‘현상유지를 깨트린다(change the status quo)’는 원칙을 견지해오고 있어요. 어느 분야에서도 다른 사람들이 하는 그대로 해서는 성공할 수 없어요. 좋은 것(good)과 더 좋은 것(better), 최고(the best)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다른 것이 더 나은 것이며, 더 나은 것은 곧 무엇인가 달라야만 합니다. 그래서 나는 보통 사람들이 비즈니스를 하는 방식과 항상 다르도록 애쓰고 있지요. '마카오에 세계 최대 카지노…샌즈그룹 회장 셸던 아델.. 더보기 당신의 제트기 -아침편지- 인간의 지능과 정신은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놀라운 창조물에 속한다. 하지만 우리는 자신의 재능이나 힘의 지극히 일부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마치 우리 모두에게 태어나면서부터 제트기가 한 대씩 주어지는 것과 같다. 그 제트기는 하늘을 날 수 있지만 그 모습을 볼 수 없는 우리는 자신이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른 채 아침마다 비행기 날개를 번쩍거리게 광을 내거나 엔젠을 가동시켜 성능을 점검한 후 격납고에 보관하는 것과 같다. - 로버트 쿠버 늘 남을 부러운 시선으로 바라보지만 정작 자신 안에 들어 있는 보석은 그것이 보석인지도 모른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모르고 있다. 자신이 얼마나 엄청난 낭비를 하고 있는지를. 자신 안에 잠재된 재능을 방치해 두는 것. 살아가면서 그것 이상으로.. 더보기 세일즈의 핵심 스킬 -공병호연구소- 1. 만약 당신이 세일즈맨으로 성공하려면 부정적인 상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낼 수 있어야 한다. -자의식이 지나치게 강한 사람이나 작은 일에도 상처받기 쉬운 예민한 자의식을가진 사람들은 업무나 구매에 대한 거부를 자신에 대한 거절로 보기 때문에,누군가 ‘아니오’라고 이야기하면 이를 개인적으로 받아들인다. 거부를 거절과 혼동하는 것은 세일즈 활동을 너무 고통스럽게 만든다.사람들은 ‘예’보다는 ‘아니오’라고 답하는 경우가 휠씬 많기 때문이다. 2. 고객들은 나에게 험한 말을 하기도 하고, 위협하기도 하고, 뭔가를 집어던지기도 했다. 그때마다 나는 그런 일이 나와는 상관없다는 것을 기억해야만했다. 그 고객들은 이전에 만난 다른 세일즈맨에게 화가 나거나 우리 회사또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화가 난 것이지 결코.. 더보기 리셴룽 총리, 싱가포르의 동력은 위기의식이다 -예병일의 경제노트 - 리셴룽 총리, 싱가포르의 동력은 위기의식이다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9.18) ―흔히 경쟁력, 효율성을 떠올리게 하는 싱가포르의 동력(動力)은 무엇인가. “위기 의식이다. ‘아주 특별하지 않으면 소국이라서 매우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불안의식이다. 우리가 지닌 환경적 약점을 보완하려면 우리는 늘 탁월해야(outstanding) 한다.” '"성장동력은 위기의식 성장 못하면 ‘공평한 궁핍’ 뿐"' 중에서 (조선일보, 2007.9.18) 올해 55세인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 그는 '경쟁력'의 상징인 싱가포르의 동력이 무엇이냐는 인터뷰어의 질문에 '위기의식'이라고 답했습니다. 싱가포르는 '소국'이라 '아주 특별'하지 않으면 매우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불안의식... 이런 위기의식이 지금.. 더보기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고있진 않나요? -플러스묵상- 게으른 베짱이는 벌을 받는다고 믿어왔나요? 내가 쉬는 사이에 경쟁자는 저만치 앞서간다는 말을 비판 없이 받아들인 건 아닌가요? 그러나 부지런한 개미는 업무 과다로 병원신세를 지며, 게으른 베짱이는 특유의 끼를 발휘해 음반을 발매하고 큰 부자가 된다는 것이 21세기식 개미와 베짱이의 이야기입니다. 주어진 일에 얽매여 있을 때 창의력은 발휘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재미있게 놀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가운데 창의력은 샘솟습니다. 40세 어른의 창의력은 5살 난 아이의 4%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정보의 재조합이 성공의 키워드인 21세기에는 근면 대신 창의력을 요구합니다. 경제적인 수입, 명성, 성공보다 희망, 배우자의 믿음과 사랑, 휴식,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 가족 간의 유대감, 우정 등이 행복과 즐.. 더보기 오페라의 신데렐라 폴포츠 오페라의 신데렐라 폴포츠 꿈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에게 꿈은 반드시 찾아 온다. 오페라 가수의 꿈을 꾸었지만 자신이 지니고 있는 조건을 보면서 그는 자꾸 움츠리기만 했다. 어눌한 말투, 못생긴 외모는 어린시절부터 놀림의 대상이었다. 1999년 영국 한 방송사 주최 노래경연 대회에서 수상한 그는 유명 오페라단을 찾아 갔으나 번번히 거절 당했다. 운명은 그가 가수의 길로 가는 것을 막는 것만 같았지만 그의 가슴에는 가수에 대한 꿈이 계속 타올랐다. 힘겨운 생활이지만 이태리까지 건너가서 두 차례씩이나 단기과정을 수료하고 쉬는 시간에도 노래를 흥얼거리며 노래와 함께 했다. 꿈을 피워보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그에게 운명은 가혹한 시련만 안겨 주었다. 종양이 발견되어 수술을 받아야 했고 2003년에는 오토바이 사고로.. 더보기 성공을 부르는 힘 ‘평생학습 모드’ 성공을 부르는 힘 ‘평생학습 모드’ 샐러던트라는 말은 Salaryman과 Student를 합해서 만들어진 합성어로서 일하면서 공부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직장을 다니고 있는 사람들이 새로운 영역이나 자신의 분야에서 보다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공부하는 사람들 말이다. 이렇게 공부하는 샐러리맨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현실 생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거나 미래에 보다 나은 직업을 가지기 위한 몸부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주5일제가 도입이 되면서 자기계발을 할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우리사회는 참으로 빠른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있다. 가속되고 있는 세계화에 따른 경쟁의 심화, 인터넷 혁명에 따른 공간과 거리가 파괴되면서 .. 더보기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