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두려움을 활용하라 - 플러스묵상 - 두려움을 활용하라 예전이나 지금이나 자신의 일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두려움을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마주한 이들이다. 이들은 두려움을 애써 숨기려고 근심, 스트레스, 긴장감이라는 말로 핑계를 대지 않는다. 그 대신 자기가 맡은 책임이나 새로운 도전 때문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솔직하게 공개적으로 말한다. GE의 전 최고경영자였던 잭 웰치는 이렇게 말했다. "뭔가를 경영하는 사람들은 밤에 집에 가서 늘 똑같은 두려움과 마주하게 된다. 내가 이 회사를 망치는 건 아닐까?" 천문학자 샐리 라이드 역시 두려움을 겁내지 않고 솔직하게 말했다. "모험이란 두려운 일이다. 특히 새로운 곳으로 가는 경우엔 더욱 겁이 나게 마련이다." 힘겨울 때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매우 정상적인 일임을 인정하고 나면, 마음이 훨씬 더 대담.. 더보기
다른 사람을 최고로 만드는 사람이 최고의 리더 - 행복한 경영이야기 - 다른 사람을 최고로 만드는 사람이 최고의 리더 리더는 다른 사람을 최우선시 함으로써 맨 앞에 설 자격을 얻는다. 다른 사람을 자극하는 것이 리더의 주된 임무이다. 다른 사람들이 최고가 되지 않고서는 리더 역시 최고가 될 수 없다. -켄 제닝스 & 존슈탈 베르트 자기보다도 다른 사람이 먼저 잘 되게 하는 것이 좋은 리더입니다. 더 좋은 리더는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고, 그것에 더 큰 기쁨과 행복을 얻는 사람입니다. 그러면 저절로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르는 이가 많을수록 더 낮은 자리로 내려갈 줄 아는 리더가 참 리더입니다. 더보기
변화와 비관론자,낙관론자,현실주의자 - 예병일의 경제노트 - 변화와 비관론자,낙관론자,현실주의자 풍랑이 이는 바다에서의 변화경영도 이와 유사할 수 있다. 먹구름이 몰려오고, 저 밖에는 경쟁자들과 상어들이 당신을 집어삼키려 몰려들고 있다. 그런데도 선원들은 이 문제와 관련하여 구조조정과 같은 어떤 조치도 취할 의향이 없다. 이럴 때는 변화를 시도하기가 쉽지 않고, 변화가 조직의 지배적인 논리가 아닐 경우 특히 더 어려워진다. 이럴 경우에는 급격하게 조직이 무너진다. (260p) 마이클 자렛 지음, 윤규상 옮김, 박일준 감수 '어떤 기업이 변화에 성공하는가? - 변화하는 기업, 진화하는 전략' 중에서 (비즈니스맵) '변화'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본질입니다. 개인도, 기업도, '변화'에 적응하고 제대로 대처하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하면 사라집니다. 하지만 개인도, .. 더보기
습관을 정복한 자가 정상에 오른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 - 습관을 정복한 자가 정상에 오른다. 습관이 가진 위대한 힘의 진가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습관을 창조하는 것이 훈련이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자신의 미래를 깨뜨릴 습관을 미리 깨뜨려야 한다. 그리고 성공을 쟁취하는 데 도움이 될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필요한 훈련을 받아들여야 한다. (The individual who wants to reach the top in business must appreciate the might of the force of habit and must understand that practices are what create habits. He must be quick to break those habits that can break him and haste.. 더보기
무엇이 내 인생을 만드는가 - 공병호 연구소 - 무엇이 내 인생을 만드는가 잘 사는 방법도 공부를 해야 하지요.빅터 프랭클의 방법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책의 첫 부분은 “사는 방식이 산다는 것 자체보다 중요하다”로 시작합니다. 1. 나는 1960년대에 프랭클이 저술한 ‘죽음의 수용소에서’와 ‘의사와 영혼’을 읽었는데 그 감동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이 두 책은 프랭클의 다른 저술이나 강연과 아울러 ‘내 영혼이 가지고 있는 코드’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었다. 그것은 인간의 특별한 선택 능력, 자각 능력, 본질과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will to meaning) 등과 관련이 있다. 2. 다음의 세 줄의 문장은 빅터 프랭클의 본질적 가르침을 정확히 관통하고 있다. 자극과 반응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 우리의 반응을 선택하는 자유와 힘이 .. 더보기
예행연습 - 고도원의 아침편지 - 예행연습 연습 없이 즉흥적으로 프레젠테이션을 할 거라면 차라리 포기하는 것이 낫다. 예행연습은 프레젠테이션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특히 예행연습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자신을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카민 갤로의《리더의 자격》중에서 - * 삶은 예행연습이 없습니다. 좋은 목표, 좋은 방향을 향해 한순간 한순간 최선을 다하며 열심히 사는 것입니다. 그러나 삶의 길목에는 예행연습의 구간이 많습니다. 예행연습은 실제처럼 철저하게! 실제는 예행연습처럼 편안하게! 그러면 당신의 인생 길이 평탄해질 것입니다 더보기
자기관리의 본질은? - 플러스묵상 - 자기관리의 본질은? 정신적으로 자기를 관리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사람이 자기를 관리하는 데 실패하고 허물어지는 것은 정신적 타락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베토벤이 보인 자신의 정신에 대한 확신은 자기관리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잘 나타낸다. 베토벤은 자기관리는 외형적이거나 물질적인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에 대한 긍정에서 나오는 정체성에 있음을 우리에게 분명히 알려주었다. 베토벤의 한 형제가 약사가 되어 많은 재산을 모았다. 그는 조그마한 정원이 딸린 집을 샀고 이를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그래서 자신의 명함에 ‘XX정원 소유자’라고 함께 새겨두었다. 어느 날 그는 베토벤에게 이 명함을 주었다. 명함을 받아 든 베토벤은 즉시 자신의 명함을 꺼내 이름 아래에 몇 글자를 추가하여 형제에게 전했다... 더보기
아드레날린 중독자 - 플러스묵상 - 아드레날린 중독자 "나는 압력을 받아야 실력이 발휘됩니다. 물론 늑장을 부리긴 하지만 항상 시간 안에 일을 끝냅니다. 마감이 다가오면 하루에 16시간 일합니다. 어쨌든 기한을 어기지는 않습니다." 헴펠트, 미너스, 메이어 등 의 저자들은 이를 갈채 증후군, 위기 쾌감 중독증이라고 칭한다. 즉, 마지막 시간이 다가올 때까지 행동하지 않고 버팀으로써 평범하게 끝났을 일에 드라마를 부여하려는 심리이다. 이들은 어쨌든 언제나 해내기 때문에 칭찬, 진급, 봉급 인상 등 포상을 받는다. 여기서 '언제까지'라는 단어는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 그 단어를 떠올릴 때마다 생명이 줄어드는 느낌이다. 그래서 아드레날린이 솟구친다. 그러나 언제까지 아드레날린 과다 분비에 기대어 살 수 있을까? 육체가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이다.. 더보기
능력있는 인재보다 품격있는 인재 - 플러스묵상 - 능력있는 인재보다 품격있는 인재 품격이란 앞에서도 말했지만 고고한 학식이 있는 자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기 하는 일에 긍지를 갖고 올바르게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면 된다. 얼마 전 텔레비전에서 어느 시골 장터에서 대를 이어 엿장사를 하는 사람의 휴먼 스토리를 본 적이 있다. 감동적이다. 평생 묵묵히 한 우물을 파는 장인들도 가끔 본다. 대단한 명예나 부가 따르는 일도 아니다. 한 가지 일에 일류가 된 사람에겐 그 나름의 품격이 온몸에 젖어 있다. 우리는 앞에서 인어 할머니의 주름진 얼굴에서, 굽은 등 에서 형언하기 어려운 품격의 향기가 짙게 배어 있음을 보았다. 이런 사람이 누구 앞에 선들 비굴할까. 그 중후한 인품에 압도당하고 만다. 신뢰와 존경이 절로 생긴다. 그의 인간적 매력에 한없이 끌려 들어간다... 더보기
우달모지재(愚達謨智才) - 플러스묵상 - 우달모지재(愚達謨智才) 언젠가 지인에게서 우스개처럼 들었던 말 중에 우달모지재(愚達謨智才)가 있다. 사람의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해 놓고, 나름대로 등급을 정해 놓은 말이다. 가장 하위 등급의 사람은 재(才)이다. 즉 재주, 내지는 기술(技術)만 가지고 사는 사람들이다. 자기 재주나 기술 하나만 믿고 까부는 사람을 경계하거나 그런 사람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제일 아래에 둔 것 같다. 그 위의 등급은 조금은 배운 사람, 즉 가방끈이 있는 사람들이다. 재주 하나를 믿고 사는 사람들보다는 그래도 배운 사람이 낫다는 것이다. 1~2개의 재주나 기술을 가진 사람 보다 그 재주나 기술을 알아보고 써주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 같다. 하지만, 지(智)는 언제나 모(謨)를 당할 수 없다고 한다. 모(謀)는 어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