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병호연구소

의미있는 삶을 위한 7가지 원칙 - 공병호 연구소 - 의미있는 삶을 위한 7가지 원칙 "본능은 유전자를 통해 전달되고 가치는 전통을 통해 전달되지만, 의미는 특이하게도 개인적인 발견의 문제다.“ -빅터 프랭클 잘 사는 길, 행복으로 가는 길은 모두 한 단어 자신의 행위에 대해 순간 순간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때 가능합니다. 이런 점에서 빅터 프랭클의 의미론은 정말 멋진 주장입니다. 1. 우리가 ‘생각의 포로’가 되어 어떤 식으로 자신의 발목을 잡고 있는지 살펴보자. 인간의 잠재력 분야에서 세계적 지도자인 디팩 초프라는 ‘조건없는 삶’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감옥을 세우고 쌓아 올리고 있다. 우리 눈에 이 감옥의 벽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바로 비극이다.“ 2. 우리는 의미 추구를 통해 잘못된 사고방식을 바로 잡고, 편견에서 스스로 ‘풀려날 때“ 탈출.. 더보기
무엇이 내 인생을 만드는가 - 공병호 연구소 - 무엇이 내 인생을 만드는가 잘 사는 방법도 공부를 해야 하지요.빅터 프랭클의 방법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책의 첫 부분은 “사는 방식이 산다는 것 자체보다 중요하다”로 시작합니다. 1. 나는 1960년대에 프랭클이 저술한 ‘죽음의 수용소에서’와 ‘의사와 영혼’을 읽었는데 그 감동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이 두 책은 프랭클의 다른 저술이나 강연과 아울러 ‘내 영혼이 가지고 있는 코드’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었다. 그것은 인간의 특별한 선택 능력, 자각 능력, 본질과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will to meaning) 등과 관련이 있다. 2. 다음의 세 줄의 문장은 빅터 프랭클의 본질적 가르침을 정확히 관통하고 있다. 자극과 반응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 우리의 반응을 선택하는 자유와 힘이 .. 더보기
통화전쟁 - 공병호연구소 - 통화전쟁 최근의 세계 경제의 문제를 통화전쟁이란 관점에서 설명한 글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2008년에 돌파구로 찾아낸 것은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즉 경제를 부양하려는 목적으로 종이돈 공급을 늘리는 조치였다. 연준은 장기 금리를 내려서 재정 상태를 완화하려는 의도였다고 말하지만, 따지고 보면 결국 경제 성장을 촉진하려고 새로 종이돈을 찍어내는 것 뿐이다. 2. 연준이 미국에서 실시한 정책이 초래할 걱정스러운결과 중 대다수가 이미 다른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다. 미국이 달러를 발행하면 중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이집트에서 식품 가격이 오르며 브라질 주식 시장에 버블이 생긴다. 종이돈을 찍어내면 미국의 부채가 평가절하되므로 결국 외국의 채권자는 가치가 낮아.. 더보기
멀티플라이어 vs 디미니셔 - 공병호연구소 - 멀티플라이어 vs 디미니셔 세상에는 두 부류의 리더가 있다. 하나는 ‘멀티플라이어(multiplier)’이고 다른 하나는‘디미니셔(diminisher)’이다. 1. 멀티플라이어는 천재를 만드는 사람이다. 그의 주위에 있으면 모두 더 능력 있고 더 똑똑해진다. 전통적인 의미의 천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멀티플라이어는 각 개인이 가진 특별한 재능을 끌어내고 천재가 가득한 분위기를 만들어, 혁신, 생산적인 노력, 집단지성이 가능하게 한다. 디미니셔는 아이디어를 죽이고 에너지를 파괴하는 사람이다. 그와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의 아이디어는 질식해버리고 지성의 흐름은 막혔다. 이런 리더가 있는 곳에서는 지성이 한 방향으로만, 즉 리더에게서 아랫사람들에게로만 흘렀다. 2. 우리는 멀티플라이어(M)와 디미.. 더보기
구글 엔지니어의 명상 훈련 - 공병호연구소 - 구글 엔지니어의 명상 훈련 구글에서 엔지니어들은 자기 시간의 20퍼센트를 핵심업무 외의 프로젝트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 결과로 한 엔지니어는 ‘내면검색 프로그램’이란명상 프로그램을 만들어 냅니다. 1. 이 프로그램은 크게 세 부분 즉, 주의력 훈련, 자기 이해와 자기통제 그리고 유용한 정신습관 창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우리의 앞이나 뒤에 있는 것은 우리 안에 있는 것에 비하면 지극히 하찮은 것들이다. -랠프 왈도 에머슨 3. 감성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기분, 감정을 이해하고 그들 사이를 구분하며 이 정보를 자신의 생각과 행동의 지침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피터 샐로베이와 존 D. 메이어 4. 기술 부문에서 최고성취자들과 평범한 성취자들을 구분해주는 6가지 능력. -강한 성취욕과 높.. 더보기
온리원 상품 개발법 - 공병호 연구소 - 온리원 상품 개발법 온리원 상품을 만들어 내는 비결을 무엇일까? 풀리지 않는 너트 ‘하드록 너트’로 세계 시장에 우뚝 선 ‘하드록공업주식회사’의 와카바야시 가츠히코 사장의 조언입니다. 첫째, 생각하는 습관에 익숙해져야 한다. 무엇이든 호기심을 가지고 보고, 만지고, 느껴 봐야 한다. ‘온리원 상품을 만들겠다’는 생각을 품고 있는 사람만이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려면 모든 사물과 현상에 호기심을 품고 ‘이것이 새로운 상품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둘째, 세상에 있는 상품은 모두 미완성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이런 생각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상품은 완성도가 60~70퍼센트 정도다. 바꿔 말하면 최소한 30 퍼센트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더보기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법 - 공병호 연구소 -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법 사는게 늘 문제의 연속입니다. 문제 해결 능력을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존 맥스웰의 조언이 주목해 보세요. 1. 샘 월튼 같은 유능한 리더들은 항상 도전하려 한다. 이것은 승자(winner)와 마냥 징징거리는 사람(whiner)을 갈라놓은 요인 중 하나다. 다른 소매상들은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을 보며 불평만 했을 뿐이지만 월튼은 창의성과 끈질감을 갖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었다. 2. 어떤 분야든지 리더는 문제를 만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세 가지 이유에서 그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첫째는 우리가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져 가는 세상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사람들과 끊임없이 부딪힌다는 것이다. 셋째는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모든 상황을 통제.. 더보기
비전 & 비전가 - 공명호 연구소 - 비전 & 비전가 '어떻게 한발 앞서갈 것인가‘라는 책 속에 나오는 삶과 비즈니스 명언들을 죽 훑어보세요. 1. 비전이란? 내다 보이는 장래의 상황으로 꿈이 실현된 최종 상태를 말한다. 비전은 반드시 장기적인 목표와 실천을 수반한다.2. 비전가(visionary)? 멀리 보고 남들보다 먼저 행동하며 자신의 비전을 현실로 만드는 사람을 일컫는다.3. 꿈꾸는 자는 미래를 들여다보며 희망을 본다. 꿈꾸지 않는 자는 단지 미래만 볼 뿐이다. -D. 엘더4. 비전이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기술이다. -조너선 스위프트5. 나는 밤에만 꿈을 꾸는 게 아니라 하루종일 꿈을 꾼다. 나는 생계를 위해 꿈을 꾼다. -스티븐 스필버그6. 뭔가를 해야겠다고 마음먹으면 지나칠 만큼 열정적으로 파고들어야 한다. ... 나는 평생동.. 더보기
율곡의 자경문 - 공병호 연구소 - 율곡의 자경문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도리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조선 시대 선비들 이야기를 읽다가 오래 만에 만나 율곡 이이의 자경문(自警文)을 보내드립니다. 1. 입지(立志) 뜻을 크게 가지고 성인을 본받되, 조금이라도 미치지 못하면 더욱노력해야 한다. 2. 과언(寡言) 말을 적게 하라. 마음을 안정시키려면 말을 줄여야 한다. 3. 정심(定心) 마음을 바르게 하려면 잡념과 집착을 끊고 쉬지 않고 공부해야 한다. 4. 근독(謹獨) 언제나 경계하고 조심하면 자연히 일체의 나쁜 생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5. 독서(讀書) 해야 할 일을 모드 마친 뒤에 글을 읽는다. 글을 읽은 이유는 의리를 살펴 일을 할 때에 쓰기 위한 것이다. 6. 소제욕심(掃除慾心) 이로움을 탐하는 마음을 버리.. 더보기
나력의 지혜 by 니체 - 공병호 연구소 - 나력의 지혜 by 니체 니체가 남긴 문장들 가운데 압권에 해당하는 문장들을 보내드립니다.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교수님의 책 ‘니체는 나체(naked)다’에서 뽑아보았습니다. 1. 나는 밧줄 사다리도 온갖 창문에 기어오르는 법을 배웠다. 나는 민첩한 발로 높은 돛대에 오르기도 했다. (...) 나는 다양한 길과 방법을 통해 나의 진리에 이르렀다. 내가 사다리 하나로만 먼 곳을 볼 수 있는 위치까지 오른 것은 아니다. 나 역시 계속해서 물어가며 걸었다. 물음과 시도, 그것이 내 모든 행로였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힘만으로 무엇인가에 온 노력을 쏟아야 한다. 자신의 다리로 높은 곳을 향해 걷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에는 분명 고통이 따른다. 그러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