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경영

작심삼일을 극복하는 방법 - 예병일의 경제노트 - 작심삼일을 극복하는 방법 몇 년 전만 해도 지금처럼 어려운 업무를 맡고 있지 않았던 그녀는 퇴근 후 요가를 하러 다녔다. 요가를 하고 나면 마음이 편안하고 상쾌해졌다. 와인을 마시며 부동산 관음증에 빠져 지내는 것보다 요가가 기분을 좋게 한다는 사실을 그녀도 알고 있었지만, 요가수업에 가려고 생각할 때마다 너무 귀찮게만 느껴졌다. 그냥 곧장 집으로 가서 와인 마개를 따는 편이 훨씬 더 매력적이었다. (225p) 켈리 맥고니걸 지음, 신예경 옮김 ' 왜 나는 항상 결심만 할까 - 게으름과 딴짓을 다스리는 의지력의 모든 것' 중에서 (알키) 분명 하면 좋은 것인줄 알면서도 안하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운동, 다이어트, 독서... '유혹'에 굴복하는 것이지요. '작심삼일'은 그래서 생겨난 단어일 겁니다. 회사.. 더보기
일을 20개로 쪼개보면 만만해진다 - Seri 직장인 이야기 - 일을 20개로 쪼개보면 만만해진다 - 작성자 : 박현호 “당신은 어느 회사의 어떤 부서에서 일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매우 쉽다. ‘○○전자의 영업부 혹은 △△회사의 세무부서’ 이렇게 대답하면 된다. 직장인들은 이 질문의 답을 명함에 이미 써놓았기 때문에 대답하기 쉽다. 한 단계 더 깊은 질문으로 들어가자. “그 부서에서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하고 있는가?” 라고 말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길어질 수 있다. 요령 있게 대답하려면 조금 생각을 하게 된다. 교육부에 근무하는 사람은 아마 이렇게 말할 것이다. “교육 예산도 따내고, 교육 커리큘럼도 만들고, 강의안도 만들고, 실제로 강의도 하고, 다른 전문가들을 강사로 섭외하기도 하고, 교육장을 잡고,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점심 메뉴도 짜고.. 더보기
직장인 계단식 자기계발 전략 - 마이구루 칼럼 - 직장인 계단식 자기계발 전략 작성자: 경력철학자 간호재 (마이구루 이사) 지위와 역할에 필요한 역량을 갖춰라 -조직에서 인정받는 인재활동에 중점 맞춰야 요즘 직장인들의 최고 화두는 자기계발이다. 샐러리맨과 학생의 조합어인 ‘샐러던트’가 이미일상 용어가 된 지 오래이다. 자격증을 따기 위해, 외국어를 배우기 위해, 업무 역량을 키우기 위해 퇴근 후에 학원으로 발길을 돌리는 직장인들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기계발에 만족하는 직장인들은 그리 많지 않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질까? 지금 다니고 있는 조직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직장인의 자기계발은 조직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직장인의 자기계발은 조직에서 인정받는 인재가 되는 활동에 초점을 모아야만 한다... 더보기
책상을 보면 유능한 사람인지 안다 - 플러스묵상 - 책상을 보면 유능한 사람인지 안다 물건을 버릴 줄 모르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일을 깔끔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사람이라 할수 있다. 그래서인지 토요타에서는 책상이 정리 정돈되어 있지 않으면 '유능하지 못한 사람’이라는 말을 들었다. 토요타에서는 업무 시간에 참고했던 공유 자료를 본래 있던 자리로 되돌려 놓고 나서야 귀가 할수 있다. 책상 위에는 아무것도 두지 않고 퇴근하는 것이 원칙이었기 때문이다. 자기 주변에 자료가 쌓여 있는 사람은 ‘이 자료도 필요할지 모른다’ , '이 서류를 버리면 나중에 큰일이 날지 모른다’, 하며 막연하게 불안해 하는 경우가 많았다. 신중하다고 평가할수 있을지 모르지만, 보관할 것과 버릴 것을 구별할 줄 모르면 다른 사람한테는 절대로 일을 맡기지 못한다. * [토요타 사람들은 어떻게.. 더보기
두려움을 활용하라 - 플러스묵상 - 두려움을 활용하라 예전이나 지금이나 자신의 일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두려움을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마주한 이들이다. 이들은 두려움을 애써 숨기려고 근심, 스트레스, 긴장감이라는 말로 핑계를 대지 않는다. 그 대신 자기가 맡은 책임이나 새로운 도전 때문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솔직하게 공개적으로 말한다. GE의 전 최고경영자였던 잭 웰치는 이렇게 말했다. "뭔가를 경영하는 사람들은 밤에 집에 가서 늘 똑같은 두려움과 마주하게 된다. 내가 이 회사를 망치는 건 아닐까?" 천문학자 샐리 라이드 역시 두려움을 겁내지 않고 솔직하게 말했다. "모험이란 두려운 일이다. 특히 새로운 곳으로 가는 경우엔 더욱 겁이 나게 마련이다." 힘겨울 때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매우 정상적인 일임을 인정하고 나면, 마음이 훨씬 더 대담.. 더보기
다른 사람을 최고로 만드는 사람이 최고의 리더 - 행복한 경영이야기 - 다른 사람을 최고로 만드는 사람이 최고의 리더 리더는 다른 사람을 최우선시 함으로써 맨 앞에 설 자격을 얻는다. 다른 사람을 자극하는 것이 리더의 주된 임무이다. 다른 사람들이 최고가 되지 않고서는 리더 역시 최고가 될 수 없다. -켄 제닝스 & 존슈탈 베르트 자기보다도 다른 사람이 먼저 잘 되게 하는 것이 좋은 리더입니다. 더 좋은 리더는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고, 그것에 더 큰 기쁨과 행복을 얻는 사람입니다. 그러면 저절로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르는 이가 많을수록 더 낮은 자리로 내려갈 줄 아는 리더가 참 리더입니다. 더보기
변화와 비관론자,낙관론자,현실주의자 - 예병일의 경제노트 - 변화와 비관론자,낙관론자,현실주의자 풍랑이 이는 바다에서의 변화경영도 이와 유사할 수 있다. 먹구름이 몰려오고, 저 밖에는 경쟁자들과 상어들이 당신을 집어삼키려 몰려들고 있다. 그런데도 선원들은 이 문제와 관련하여 구조조정과 같은 어떤 조치도 취할 의향이 없다. 이럴 때는 변화를 시도하기가 쉽지 않고, 변화가 조직의 지배적인 논리가 아닐 경우 특히 더 어려워진다. 이럴 경우에는 급격하게 조직이 무너진다. (260p) 마이클 자렛 지음, 윤규상 옮김, 박일준 감수 '어떤 기업이 변화에 성공하는가? - 변화하는 기업, 진화하는 전략' 중에서 (비즈니스맵) '변화'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본질입니다. 개인도, 기업도, '변화'에 적응하고 제대로 대처하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하면 사라집니다. 하지만 개인도, .. 더보기
“나는 사막의 낙타인가, 숲속의 호랑이인가?” - 펀경영연구소 - “나는 사막의 낙타인가, 숲속의 호랑이인가?” 2012.06.20, 김찬규 "저는 뭘 하고 싶은지 모르겠어요. 그걸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세상의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정확히 모른다. 단언하건데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강의하고 책쓰는 사람들 중에서도 그런 사람들이 많다. 물론 하늘이 낸 예술가나 천재들은 열 살도 되기 전에 제 갈 길을 알 수도 있겠지만 보통의 평범한 사람에게 앞날은 안개 너머 풍경처럼 희미하게만 보일 뿐이다. 그러니 그 희미한 안개 속에서 한발 한발 조심스레 더듬어 그 길을 찾아갈 수밖에 없다. 그럼 하고 싶은 일을 어떻게 찾아야 할까? 우선 자기 길을 찾기 위해 다음 질문을 던져보자. 1. 무엇이 내 가슴을 뛰게 하는가? 2. 무엇을 할 때 시간 가는 줄 모르.. 더보기
꽃은 피는 순간부터 지기 시작한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 - 꽃은 피는 순간부터 지기 시작한다. 꽃이 피기까진 긴 겨울이 필요하다. 겨울의 찬바람과 눈보라를 모두 이겨내고 나서야 마침내 꽃은 활짝 핀다. 그러나 꽃은 피는 순간부터 지기 시작한다. 자연의 꽃은 순리에 따라 지지만 인생에 있어서의 꽃은 초심을 잃기 때문에 진다. 자신감이 오만으로 변질될 때 위기가 찾아온다. -정우현 미스터 피자 회장, ‘나는 꾼이다’에서 명심보감에 ‘그릇이 차면 넘치고 사람이 차면 잃게 된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성공은 필연적으로 교만을 부릅니다. 또한 정상까지 오르게 해준 방법들이 역설적으로 계속 그곳에 머물러 있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정상에 오르기 보다는 지키는 것이 3배는 어렵다는 말이 실감납니다. 더보기
습관을 정복한 자가 정상에 오른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 - 습관을 정복한 자가 정상에 오른다. 습관이 가진 위대한 힘의 진가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습관을 창조하는 것이 훈련이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자신의 미래를 깨뜨릴 습관을 미리 깨뜨려야 한다. 그리고 성공을 쟁취하는 데 도움이 될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필요한 훈련을 받아들여야 한다. (The individual who wants to reach the top in business must appreciate the might of the force of habit and must understand that practices are what create habits. He must be quick to break those habits that can break him and hast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