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콤 글래드웰

대가로 성장하는 법 - 구본형 변화경영 연구소 - 대가로 성장하는 법 “사진작가가 되려면 10년이 걸린다.”, 사진가 마이너 화이트의 말입니다. 소나무 사진가로 유명한 배병우는 1984년 처음 소나무를 찍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처음엔 무조건 찍었을 뿐이다. 다음 단계에 접어들어서는 소나무에 관한 자료를 모으고, 공부를 하게 되었다. 그렇게 10년쯤 지나자 뭔가 되는 것 같았다”고 합니다. 하워드 가드너는 한 분야를 창조하거나 혁신한 거장들을 연구한 에서 ‘10년의 법칙’을 강조합니다. 어떤 분야에서 대가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간의 집중적인 수련기가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말콤 글래드웰의 를 통해 유명해진 ‘1만 시간의 법칙’ 역시 본질은 10년의 법칙과 같습니다. 1만 시간을 채우는 데 대략 10년 정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10년의 .. 더보기
비틀즈의 함부르크 시절과 1만 시간 법칙 - 예병일의 경제노트 - 비틀즈의 함부르크 시절과 1만 시간 법칙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9.01.13) 1960년, 비틀즈가 그저 열심히 노력하는 고등학교 록 밴드에 불과할 때 그들은 독일의 함부르크로부터 초대를 받았다... 함부르크에서는 과연 어떤 특별한 일이 있었을까? 급료가 제대로 나온 것도 아니고 음향이 훌륭했던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관객은 귀를 기울여 들어주었을까? 그렇지도 않았다. 특별한 것은 단지 그들이 엄청난 시간을 연주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말콤 글래드웰 지음 '아웃라이어 - 창조적 지성의 탄생과 성공의 비밀' 중에서 (김영사)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지요. 신경과학자 다니엘 레빈틴의 연구결과입니다. 어느 분야건 세계적인 전문가가 되려면 1만 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다는 내용입니다. 레빈틴이 작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