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경영/벤치마킹

시간 레버리지(2) - 공병호연구소 -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자유시간을 만드는데 집착하지 말고 일단은 투자하는 것이 여유 시간을 만들어내는 비결입니다. 투자를 해서 투자자산이 쌓이면 불로소득과도 같은 시간이 생겨납니다.

2. 요즘 일과 개인생활의 균형을 찾아 풍요로운 삶을 누리자는 ‘Life Work Balance'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뜻을 오해하고 있는 사람도 있더군요.
Life Work balance가 중요하니까 무조건 빨리 일을 마치고 집에 가려고만 한다면 결과적으로 일에 쫓기는 삶을 살게 될 것이고 성과 또한 오르지 않을 것입니다.

3. 시간을 투자하는 방법의 하나는 행동을 하기 전에 순서를 정해 놓거나, 계획을 짜거나, 흐름을 생각해 두거나, 지름길을 마련해 두는 것입니다.
바로 전체적인 역계산식 사고를 통해 만들어지는 ‘레버리지 스케쥴링’ 이지요.
시간레버리지 방법은 모두 5가지입니다.

첫째, 전체적인 역계산식 사고
둘째, 시간의 루틴화
셋째, 시간 공제
넷째, 시간 제한
다섯째, 고정비의 효율화


4. 먼저 목표를 정하고 나서 현재 지점에서 목표 지점까지의 전체적인 거리를 역으로 계산해
자신의 Task를 정하는 것이지요.

비즈니스를 잘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부분 ‘일단 목표를 정한다.’고 합니다.
즉, 스스로 시합일정과 같은 데드라인을 정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전체적인 역 계산식 사고로 Task를 정한다는 것입니다.

5. 하지만 일을 순조롭게 처리하지 못해 고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현시점에서 Task를 조금씩 처리해가는 식으로 일합니다. ‘오늘은 이 일을 해야 하고, 내일은 저 일을 해야 하고’ 이런 식으로 스케쥴이 하루 단위의 Task로 차 있는 경우가 많지요.

6. 시간 투자의 방법 중 하나는 시간표를 만들어 시간을 루틴화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시간을 불필요한 곳에 쓰지 않기 위한 시스템이지요.

곧바로 행동에 옮기지 않고 이 시스템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시간표는 투자에 빗대어 말하면 자산배분(Asset Allocation)과 같습니다.

7. 시간표를 짜두면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할 필요 없이 행동에 더 많이 집중할 수 있어 항상 평정심을 잃지 않을 수 있고, 덕분에 자신이 지닌 능력을 모두 발휘할 수 있는 그런 상태가 유지됩니다.
-출처: 혼다 나오유키, <레버리지 씽킹>, pp.9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