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겔만 효과
링겔만 효과
독일 심리학자 링겔만은 "집단 속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하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해봤습니다.
1대1 게임에서 1명이 내는 힘을 1백으로 할 때 참가자수가 늘면 개인이 어느 정도의 힘을 쏟는지를
측정했는데 2명이 참가하면 93으로, 3명이 할 때는 85로 줄었고 8명이 함께 할 때는 49의 힘,
즉 혼자 경기할 때에 비해 절반밖에 힘을 쏟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참가하는 사람이 늘수록 1인당 공헌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이런 집단적 심리현상을 '링겔만 효과'라고
합니다. 자신에게 모든 책임과 권한이 주어져 있는 1대1 게임과는 달리 '여러 명' 가운데 한 사람에
불과할 때 사람은 전력 투구하지 않으며 익명성이라는 환경에서 숨는 것입니다.
미국에선 다른 실험이 있었습니다. 한 청년이 일광욕을 즐기던 휴가객들 바로 옆에서 녹음기를 틀어 놓고
음악을 즐기다 바닷물에 뛰어들고 다음엔 도둑 역할을 맡은 사람이 녹음기와 옷가지 등 그 청년의 소지품을 챙겨 슬그머니 달아나도록 합니다. 누가 봐도 도둑임에 분명했지만 20회 실험 중 단 4명만이 그 '도둑'을 잡으려고 시도했습니다.
똑같은 상황에서 하나만 바꿔 봤습니다.
청년이 바닷물에 뛰어들기 전 "제 물건 좀 봐주세요"라며 옆사람에게 직접 부탁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거의 전부랄 수 있는 19명이 도둑을 잡으려고 위험을 무릅썼습니다.
자신이 여러 명 중의 한 명, 또는 주목 받지 않는 방관자로 취급받을 때 사람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최선을 다하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반대로 혼자만의 책임일 경우나 자신이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한 경우에는 위험까지 감수합니다.
회사나 조직은 개인들이 각자 활동할 때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만든 집단입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전체의 힘은 개인의 힘의 합보다 적어져 버리곤 하지요.
이런 현실에서 경영자의 과제는 무엇일까요?
개인에게 '주인 의식'을 심어주여야 합니다.
가치로 경영함으로써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일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성과중심의 목표관리등의 제도적인 방법을 기업 현실에 맞게 적용하여야 합니다.
방관자가 되거나 익명의 커튼 뒤에 남겨지는 일이 없도록 배려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인에 대한 따뜻한 관심, 책임과 함께 권한을 분명히 주는 것입니다.
IGM 세계경영연구원 수석전문위원 장세걸